미국 경제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인 대공황과 2007-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경제 전반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두 사건 모두 주식 시장 붕괴와 경기침체로부터 시작해 여러 요인들이 결합된 결과였으며, 오늘날 경제 정책의 변화와 교훈을 남겼습니다.
먼저 대공황은 1929년 10월 주식 시장의 붕괴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두 달 전인 1929년 8월부터 이미 경제는 하락세에 접어들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당시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는 주식 시장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했고, 이는 경제 성장을 둔화시켰습니다. 주식 시장의 하락으로 인해 가계와 기업의 자산 가치는 크게 줄었고, 기업들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내구재 소비와 기업의 자본 투자도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더해 미국 의회는 1930년에 스무트-홀리 관세법을 통과시켰습니다. 이 법은 미국의 보호무역을 강화하는 법안으로, 다른 나라들이 보복 관세를 부과하게 되어 미국의 수출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또한, 신규 주택 판매 감소와 이민 제한 법안이 인구 증가율을 둔화시키면서 주택 수요가 정체되는 등 다양한 요인이 대공황을 심화시켰습니다.
대공황이 본격화되면서 은행 시스템의 불안정성도 두드러졌습니다. 1930년대 초반 은행들이 연달아 파산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저축한 돈을 잃었고, 이는 경제에 더욱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특히 농업 관련 대출을 진행했던 은행들이 가격 하락과 자금 회수 실패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전국적으로 은행이 문을 닫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루스벨트 대통령은 1933년에 전국적인 은행 휴일을 선포하여 모든 은행이 문을 닫도록 조치했습니다.
또한, 당시에 연준은 '부채-디플레이션'이라고 하는 과정도 겪었습니다. 연준이 자산 매각을 촉진하자 자산 가격은 더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이로 인해 연쇄적인 파산이 이어졌습니다. 물가 하락은 채무자에게 더욱 큰 부담을 안기며 채무 불이행 가능성을 증가시켰고, 이는 경제 침체를 심화시켰습니다.
이와 비슷한 구조의 위기는 2007-2009년 금융위기에서도 발생했습니다. 이 위기는 주로 부동산 시장의 거품과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의 증가로 촉발되었습니다. 주택 시장이 과열되면서 집값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했지만, 주택 가격 상승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주택 가격은 2006년 중반부터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서브프라임 대출을 통해 주택을 구매했던 사람들이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었고, 금융기관들은 차입자들로부터 회수할 자금을 잃어버리게 되었습니다.
서브프라임 대출 문제는 모기지 담보부 증권(MBS)과 같은 복잡한 금융 상품과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금융 시장의 신뢰도가 하락하며 많은 투자자들이 손실을 입었고, 대출 조건이 강화되면서 신용 경색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신용 경색으로 인해 개인과 기업 모두 자금을 확보하기 어려워졌으며, 주택 시장뿐만 아니라 전자제품, 가구, 건축 자재와 같은 관련 산업도 타격을 받았습니다.
금융 위기의 심각성은 2008년 9월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으로 절정에 이르렀습니다. 리먼 브라더스는 당시 대형 투자은행으로서 MBS에 상당한 투자 비중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파산은 금융 시장 전반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리먼 브라더스 파산 이후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고조되었고, 금융 시장이 마비되면서 대출 시장도 급속도로 얼어붙었습니다.
위기에 직면한 연준과 미국 정부는 금융 시스템 안정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강구했습니다. 연준은 금리를 역사상 가장 낮은 수준까지 인하하고, 대출 기관을 위한 유동성 공급을 확대했습니다. 연방 정부는 주택 금융 기관인 패니매와 프레디맥을 국유화하여 주택 시장의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또한, 부실 자산 구제 프로그램(TARP)을 통해 금융기관들의 부실 자산을 매입하고, 금융기관의 자본을 확충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실행했습니다. 이처럼 연준과 정부의 개입은 금융 시스템의 안정을 일정 부분 회복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장기적으로는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이와 같은 두 차례의 금융 위기는 오늘날 경제에 많은 교훈을 남겼습니다. 특히 과도한 거품이 형성되었을 때 이를 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금융 기관들의 규제를 통해 투기적 행동을 제어할 필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또한, 금융 시스템이 단지 상업 은행뿐만 아니라 다양한 금융 기관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종합적인 규제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되었습니다.
현재 경제학자들은 실질 이자율이 명목 이자율보다 경제의 실질 상황을 더 잘 반영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대공황과 금융위기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물가 수준과 실질 이자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더 면밀히 살펴보게 되었으며, 연준과 같은 금융 정책 기관의 역할도 재정립되었습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위기로 인해 최종대부자 역할을 확대한 연준 (2) | 2024.11.13 |
---|---|
금융위기와 금융규제 (5) | 2024.11.07 |
금융위기와 금융구제 (7) | 2024.10.24 |
연금기금과 보험회사 (4) | 2024.10.22 |
투자기관 (4) | 2024.10.21 |
댓글